
[교통] 스쿨존제도에 관하여
등록일 2002.11.12
한글 (hwp) 9페이지 가격 300원
최종수정일 2015.12.24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스쿨존 제도의 배경 및 목적스쿨존(어린이 보호구역)의 법규
스쿨존의 시설
스쿨존 제도의 문제점
외국사례
개선점
결론
본문내용
스쿨존 제도의 배경 및 목적국제아동보호단체인 유니세프(UNICEF)의 2001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6개 회원국 가운데 교통사고로 인한 아동(1 14세)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4 5배 가량 높다. 1970년부터 1988년까지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이 연평균 3.7%의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1988년 이후 감소하지만 연600명정도의 어린이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특히 약 74%가 보행중 교통사고 사망으로 집계되었다.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어린이 교통사고 또한 크게 늘어 이에 따라 93년 행정쇄신위원회에서는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하여 어린 보호구역과 관련된 제도의 추진을 결정 하였고, 후속조치로서 95년 1월 5일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을 행정자치부, 건설교통부, 교육부 등 관계부처의 공동부령으로 제정하여 초등학교 및 유치원을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 관리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에는 95년도 은평구 갈현초등학교를 포함한 4개학교를 시범적으로 지정 운영한 이후 '95년 209개교, '96년 113개교, '97년 231 개교, '98년 235개교, '99년 30개교, 2000년 11개교, 2001년 17개교, 2002년 현재 1개교를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 운영하여 총 847개 초등학교(유치원)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참고 자료
도시의 안전/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엮한겨레 신문 2002년 2월1일자
www.kosha.or.kr/korea/safety_news/2002/020103.htm
월간소비자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시설 실태조사
어린이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http://cd.kotra.or.kr
판매자 정보

nanersirer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