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언어학개론
등록일 2002.10.29
한글 (hwp) 2페이지 가격 5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없음본문내용
우리는 일반 화자(話者)가 고립(孤立)시켜서 말을 할 수 있는 최소의 의미체를 단어라고 한다. 대개의 철자법(綴字法)에서 이 단위들을 이른바 띄어쓰기로 구분하는 것이 보통이다. 언어(言語)에 따라서는 같은 품사(品詞)의 기능(機能)을 가진 것들이라 하더라도 고립(孤立)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단어(單語)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영어의 to 나 from 은 고립(孤立)되어 일어날 수 있는 단어이지만 이에 해당하는 국어의 로,에서는 고립(孤立)되어 일어날 수 없으므로 단어(單語)가 되지 못한다. 문장은 단어의 배합(配合)으로 이루어진다. 한 문장에서 어느 단어나 단어군을 대치(代置)하거나 전위(前衛)시킴으로써 다른 문장을 만들 수는 있어도, 단어 이하의 단위(單位)를 대치(代置)하거나 옮길 수는 없다. 이러한 단어들이 어떻게 배합하여 문장을 이루는가? 문법적(文法的)인 문장들이 문장의 됨, 못됨(즉 문법성 대 비문법성)에 단어의 배열(配列) 순서가 불가결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단어의 배열 순서를 규정하는 문법을 어순(語順) 문법(word-order grammar)이라 하자. 어순의 규정(規定)이 필요(必要)하다는 어순문법(語順文法)은 비문법성 문장을 해결해 줄뿐만 아니라 어순에 의한 문장의 의미(意味)의 차이(差異)까지도 설명(說明)해 주는 문법의 한 가정(假定)이다.판매자 정보

lumpen26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