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민군관계론]북한의 당군관계 형성과 변화

sooya88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1.10.04
최종 저작일
2011.02
2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북한 당군관계의 형성 리포트(역사와 전망)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제1절 북한 당․군 관계의 기존연구
제2절 펄뮤터의 유형화
제3절 북한 당․군관계의 분석기준

제3장 권력계승기, 북한 군부의 역할과 정치적 비중
제1절 1972년~1986년, 군부의 권력계승 지원
제2절 1986년~1994년, 김일성의 대군통제의지 강화
제3절 1994년~1997년, 체제혼란 위협과 유훈통치

제4장 북한 군부의 역할과 당․군관계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1장 서 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공산권국가 당․군 관계 이론에 있어 일반적 설명은 당의 대군부 우위로 집약될 수 있다. 이는 공산주의 체제 건설 초기부터 군에 대한 통제가 당의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군은 무력수단을 가진 조직체이며 조직성․위계성을 갖춘 효율적 기구 중 하나라는 이유로 당료들의 각별한 경계대상이었으며 군의 통제는 정치적 안정을 위하여 매우 긴요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공산권 국가에서 당의 대군부 통제의 이면에는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이라는 또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 공산권 국가들에 있어 군부는 고도로 정치화된 정치세력이며, 문화대혁명기의 중국이나 1960년대의 쿠바, 그리고 1980년대의 폴란드의 경우에는 특히 중추적 정치세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공산주의 국가는 군부가 지니는 고도의 정치성과 민간정권(당)의 대군부 우위를 동시에 그 특성으로 갖는다.
체제 내에서 군부가 지니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정치적 영향력, 그리고 당에 의한 대군 통제라는 일견 모순된 두 가지 특성은 그동안 여타 공산권 국가의 사례들은 통제와 영향력을 양 극단으로 한 연속선상의 어느 한 곳에 위치하였다. 상대적으로 통제가 강한가 혹은 영향력이 우세한가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북한과 같이 양 극단 자체가 동시에 확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과연 북한 당․군 관계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일이 그만큼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북한의 경우에는 그 자체의 변형된 체제상의 특징과 기능들로 인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공산권 국가의 이론을 적용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참고 자료

1. 단행본
가. 국 문
국가정보원, 「북한법령집」. 서울: 국가정보원, 2005. 10.
김광목․박달수, 「북한경제」. 서울: 숭실대학교 출반부, 1994.
내외통신, 「내외통신(보도)」제37호. 서울: 내외통신, 1985.
내외통신, 「내외통신(통합편)」제693호. 서울: 내외통신, 1990.
성채기 외, 「북한 경제위기 10년과 군비증강 능력」.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3.
전현준 외,「김정일 당 총비서 취임 이후 분야별 정책전망」. 민족통일연구원 통일정세분석 97-10.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전현준, 「북한체제의 정치적 특성과 변화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2000.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정일 선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최진욱, 「김정일의 당권장악과정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6.

2. 논문, 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
가. 국 문
김용현, “북한의 선군정치와 체제 군사화에 관한 연구,” 「북한실태(정치)」, 2001 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 제3권. 서울: 통일부, 2001.
동아일보사,「동아연감, 1995」. 서울: 동아일보사, 1995.
윤병익, “북한에 있어 민군관계,”『국방논집』,제12호, 1990년 겨울.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0.
이종석, “북한의 권력구조 재편과 대남전략,”『국가전략』, 제5권 1호, 1999년 봄. 서울: 세종연구소, 1999.
정성장, “김정일 시대 북한의 ‘선군정치’와 당․군 관계,”『국가전략』, 제7권 3호, 2001년 가을. 서울: 세종연구소, 2001.
표명오, “북한의 당․군 관계: 실제와 변화,” 「국제문제」, 제164호 1984. 3. 서울: 국제문제연구소, 1984.

나. 영 문
IISS, The Military Balance 1995~1997. London : Routledge, 2007.
Nicholas Eberstadt, “If North Korea were Really `Reforming,` How Could We Tell And What Would be Able to See?”, Korea and World Affairs, Vol.26,No.1, Spring 2002. Valleta: Research Center for Peace and Unification, 2002.
Perlmutter and Leogrande, "The Paroty in Uniform: Toward a Theory of Civil-Military System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76. December, 1982. Washington, DC :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82.
Wendy Hunter, "Politicians against Soldiers: Contesting the Military in Postauthoritarian Brazil," Comparative Politics, Vol.27 No. 4, July 1995. N.J.: Prentice Hall, 1995.
SIPRI, SIPRI yearbook: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1992. New York : Oxford Univ. Pr., 1992.
sooya88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민군관계론]북한의 당군관계 형성과 변화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