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행동분석
저작시기 2011.03
한글 (hwp) 9페이지 가격 1,000원
등록일 2011.06.05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이론적 관점에서 본 소비자행동분석목차
I. 서론II. 소비자행동분석의 사례
1. 자극차별화 마케팅
2. Maslow`s Hierarchy of Needs의 적용
3. 문화(Culture)와 소비자행동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소비자 행동이란, 소비자가 자신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매하는 제품의 구매과정 전반에 걸쳐서 내리는 모든 의사결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은 소비자가 추구하는 문제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즉 소비자의 니즈와 원츠를 중촉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품, 서비스, 아이디어, 시간, 장소, 경험 등의 포괄적인 개념의 제품을 의미한다.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 과정 전반에 걸쳐서 마케터가 제공하는 제품, 브랜드, 가격, 매장, 광고, 판매촉진 등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소비자들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대한 인지적 학습, 그리고 소비자 개인의 감성적 경험과 행동에 대한 관찰을 중심으로 고려대상 제품 및 브랜드 결정, 태도 및 선호도 형성, 매장선택 및 방문, 구매 및 재구매, 브랜드 전환 등에 이르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까지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마케터는 이러한 소비자를 어떻게 분석해야하는지 잘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 소비자행동의 이론적 관점에서 소비자 행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II. 소비자행동분석의 사례
1. 자극차별화 마케팅
자극차별화(stimulus discrimination)는 거의 유사한 자극을 다른 것으로 차별화하여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이다. 소비자들은 항상 더 많은 보상과 자극을 주는 제품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마케터는 소비자들이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유사 제품들 사이에 자사제품을 차별화시켜 인식하게 하는 전략을 펼쳐야 한다.
1) CJ제일제당 `가쓰오 냉우동`
참고 자료
ㄱ. CJ제일제당 `가쓰오 냉우동`[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4&newsid=02102486589759440 &DCD=A00204&OutLnkChk=Y, 검색일자 : 2010-5-14 5:37]
ㄴ. 자료원 : 이성훈(2008), `매운 맛`을 키워드로 1년만에 매출 6배 껑충, 조선일보, 2008 년 2월 13일 B9.
ㄷ. 자료원 : 이성훈(2007), 화장품+제약 트렌드 개척 년12% 고속 성장, 조선일보, 2007년 10월 31일.
ㄹ. 자료원 : 박정훈(2008), 음식아닌 문화를 판다, 조선일보, 2008년 4월 12일, C6에서 발 췌.
ㅁ. 박세범·박종오, 2009, 소비자행동, 도서출판 북넷, 11p, 209p.
ㅂ. 황병일·박승환·김범종·최철재, 2009, 도서출판 大經, 79p.
ㅅ. 황용철·송인암, 2009, 형설출판사, 432p, 449p, 450p.
판매자 정보
mansehdh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