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 해안사구
등록일 2002.09.06
한글 (hwp) 6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서론*해안사구(사구)의 정의
1. 종류
2. 형태
3. 우리나라의 해안사구
4. 해안사구의 형성
5. 해안사구의 기능
*해안사구의 개발에 따른 폐혜
1. 환경선진국의 철저한 사구관리
2. 우리나라 사구의 실태
*해안사구의 보호방법
*결론
본문내용
사구의 크기는 길이 2 3m부터 수십㎞, 높이 약 1m에서 수백m까지 다양하다. 그 형태는 모래가 퇴적되는 기반의 성상, 풍력이나 풍향, 공급되는 모래의 양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기본적으로는 바르한(barchan) 횡사구(trans-verse dune) 성사구(star dune) 종사구(longitudinal dune) U자형사구 등으로 분류된다. 이중 바르한이 이동성 사구 중 형태가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것으로, 초승달처럼 생긴 평면형을 이루며 양 끝이 바람의지(leeward)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종단면은, 바람받이(windward) 쪽이 볼록형이며 완만한 돔형이고 바람의지 쪽은 오목형이며 슬립페이스(slip face)라고 불리는 급사면이 형성된다. 이것은 모래의 공급량이 적고 일정 방향의 강한바람이 부는 곳에 잘 발달한다. 모래의 공급량이 많아지면 각 바르한이 횡적으로, 즉 풍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되어 횡사구를 이룬다.판매자 정보

btj99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