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의 사상 VS 웅녀신화 다시 읽기
등록일 2002.08.07
한글 (hwp) 1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없음본문내용
신화라는 게 워낙 터무니없는 이야기들이라 지금까진 굳이 그 내용에 의문을 가져본다거나 의미를 찾으려 해본 적이 없었다. 그랬기에 이번에 읽게된 두 글은 모두 나에게 새로운 자극이었고 신선한 발견이었다. 매우 다른 시각에서 단군신화를 해석하고 있긴 하지만, 두 작가 모두 나름의 해석을 했을 뿐이지 '단군신화는 바로 이러이러한 이유로 이렇게 쓰여진 거'라고 주장하고 있진 않기에, 어느 한쪽의 입장에 서서 다른 쪽을 비판한다는 건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그렇다면 나 역시 '이번엔 이 쪽 입장에 서보지, 뭐' 하고 편히 마음을 정하면 되는 거니까 고민 없이 김승희씨의 주장에 편을 들어볼까 한다. 이어령씨의 '아침의 사상' 은 처음부터 끝까지 무리가 없다. 그는 '신화란 역사의 화석이 아니라 역사를 만들어 가는 상상력의 모체' 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의 글은 더욱 편안하고 재미있고 공감이 간다. 신화의 공간인 신시의 설정에 대한 해석에서부터 시작해, 투쟁-분열-죽음이 아닌 결합-화합-탄생의 신화임을 보여주는 하늘의 것과 땅의 것의 혼인을 강조해 우리나라의 정신이 다른 나라의 것보다 따뜻하고 자랑스럽다고 알려준다.판매자 정보

mj24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