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북자] 탈북자 문제
등록일 2002.05.27
한글 (hwp) 3페이지 가격 3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개요2.문제
3,대책
본문내용
25명의 탈북자 한국 망명 뉴스가 세계 언론을 뒤덮은 데 이어, 제58차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미국, 유럽연합(EU) 등이 대북 비난 결의안 채택을 검토하고 있다. 이제 북한 인권은 세계 인권의 주요 화두가 됐다. 현재 북한은 국제사회의 ‘내정 간섭’이라고 날카롭게 반응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방황하는 탈북자의 실태는 국제사회의 우려가 엄연한 사실임을 증명해준다.1996년 대홍수 이후 탈북자가 급증했지만 중국과 북한은 이들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중국과 북한의 ‘주권 침해’ 주장에 의해 국제기구나 한국 정부도 ‘조용한 외교’로 문제를 처리해왔다. 그 사이 탈북자 양산의 1차적 책임이 있는 북한은 한국 미국 등의 식량원조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굶주림을 방치했으며 탈북자는 수십만명으로 증가했다. 몇몇 탈북자의 망명이 성공하면 탈북자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작전이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됐다.탈출경로도 중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어, 북·중의 문제를 넘어 아시아의 문제로 확대됐다.판매자 정보

cutyppo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