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막] 박막(thin film)
등록일 2002.05.27
한글 (hwp) 7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박막증착에 관련된 개괄적인 정보가 들어있습니다.자세하고 깊은 내용은 다루지 않았구요, 학부생들이
박막에 관한 실험을 하기전 예비레포트 쓰는 정도의
내용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럼~
목차
1.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1) CVD의 원리
2) CVD의 특징
3) 반응장치
① 가열방법
② 반응실(reactor)의 구조
③ 가스 조정시스템
④ 배기가스처리 시스템
4) CVD의 종류
①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② Photo-CVD(Photo-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③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2.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1) 진공증착법
2) 음극스퍼터링(cathode sputtering)
① 직류스퍼터링(DC sputtering)
② 고주파 스퍼터링(RF sputtering)
③ 반응성 스퍼터링(reactive sputtering)
④ Bias Sputtering
※sputtered박막의 구조
3) 이온도금(ion plating)
본문내용
박막이란 수 ㎛(micrometer) 이내의 얇은 막을 지칭하는데, 이렇게 얇게 만든 막을 이용하여 반도체나 최첨단 전자재료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실용성이 크다. 박막증착은 물리적 제조방법에 따라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CVD 공정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사용되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원에 따라 thermally-activated CVD, plasma-enhanced CVD, photochemical CVD, laser-induced CVD, and electron-beam assisted CVD로 분류될 수 있다.
......진공증착법은 진공 중에서 박막을 만들려는 물질을 가열하여 증발시켜 그 증기를 적당한 면 위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증발의 과정이 열교환 과정이다. 진공 중에서 물질을 가열하는 방법에는 저항가열법, 전자충격법 등이 있다.
저항가열법은 고융점의 금속(W, Mo, Ta 등)의 박 또는 선을 적당한 형상으로 만든 증발원에 증착재료를 놓고, 전류를 흘려 직접가열하여 물질을 증발시키는 방법과 고융점 산화물인 Al2O3와 BeO와 같은 도가니 주변에 열선을 감아서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 있다.
판매자 정보

yjp79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