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과] 임상진단방법
등록일 2002.05.26
한글 (hwp) 21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임상진단방법)1. 해부생리
2.방사선 검사
2-1. 흉곽 X-선 검사
2-2. 폐 단층촬영
2-3. 흉부 CT 검사
2-4. 자기 공명 영상
2-5. 폐혈관 조영술
2-6. 기관지 조영술
2-7. 투시 진단법
2-8. 폐조사
3. 기관지경 검사
4. 흉강천자와 늑막액 분석
5. 폐생검
6. 객담검사
7. 동맥혈 가스분석
8. 폐기능 검사
9. 정규 폐기능 검사항목
10.산소 포화도 검사
11. 폐순환 검사
11-1. 방사능 가스교류 검사
11-2. 폐조사
11-3. 심도자
11-4. 중심 정맥압
11-5. 폐동맥 도자
11-6. 일산화탄소 확산 검사
12. 늑막생검
13. 알파 1- 항트립신검사
14. 튜버클린검사
1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본문내용
◈ 폐는 흉곽선을 따라서 폐를 덮고 있는 두 층의 보호막, 즉 늑막에 의하여 쌓여 있다. 늑막은 폐를 덮고 있는 장측 늑막과 흉곽을 따라 폐를 덮고 있는 벽측 늑막으로 나뉘며 두 늑막 사이에는 늑막강으로 불리 는 공간이 있다. 아주 적은 양의 수액이 있어 폐와 흉곽 사이에 마찰이 생기지 않게 한다.◈ 각각의 폐는 엽으로 나뉘어지는데 오른쪽 폐는 상중하 세 엽(lobe)으로, 왼쪽 폐는 상하 두 엽(lobe)으 로 나뉘어진다. 각각의 폐엽은 더 작은 분절(segments)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폐분절은 기관지로부터 분 지된 세기관지와 폐동맥으로부터 분지된 세동맥과 폐정맥으로부터 분지된 세정맥으로 구성된다.
◈ 공기는 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를 지나 폐포에 도달한다. 각각의 폐포에는 폐세동맥과 폐세정맥이 근 접해 있으며, 이런 구조는 가스교환이 이루어지는 호흡기계의 기본단위를 이룬다. 폐는 현미경상으로 관 가능한 3억개의 호흡기 기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폐포벽에서는 계면 활성제라고 불리우는 지단백 질이 분비된다. 이 물질은 호기 끝에 폐포가 완전히 허탈상태에 빠지는 것을 예방하여 폐가 다시 재팽창 하는데 드는 압력을 줄여줌으로써 호흡시 노력을 줄여 준다.
참고 자료
진단적검사와 간호 현문사 송미순 1996서문자 외 (1999) 성인간호학 상- II 수문사 p.1103 - 1118
윤혜상 저 (1993)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 p. 228 - 233
http://www.nurscape.net/nurscape/ifc/test/index.asp
판매자 정보

young1733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