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등록일 2002.05.13
한글 (hwp) 4페이지 가격 7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서 론본 론
1. 사회 문화적 고정관념에 의한 여성상
①전통적 성역할을 강조하는 광고
②여성을 남편이나 아이보다 낮은 지위를 가진 존재로 묘사하는 광고
2.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왜곡하여 보여주는 광고
①여성을 남성 의존적으로 묘사
②여성의 외모만을 중시하거나 여성상이 남성에 의해 규정되는 광고
③적극적인 모습이 아닌, 소극적 모습으로 여성을 묘사하는 광고
3. 노출이 심하거나 포즈가 성적 자극을 줄 여지가 상당한 광고
4. 사회적으로 그릇된 성 윤리관에 의해 여성을 묘사하는 광고
결 론
본문내용
서 론우리는 무분별하게 쏟아져나오는 광고의 홍수속에서 살고 있다.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알게 모르게 광고의 공해에 시달리고 있다. 공기와 수질의 오염이 물리적인 오염이라면,광고는 정신적인 오염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고 자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광고의 수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예전에는 과장광고나 허위광고에 대한 비판이 많았으나 요즘은 성의 상품화에 대한 비난이 증가하고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광고가 상품에 대해 표면적인 목적에 치중하여 왔던 것에 반해 이제는 남성과 여성이 상품과 아무 관련없이 다만 장식적인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20세기 이후 대중매체와 소비상품의 발달은 일상생활의 초점을 생산이나 노동이 아닌 다양한 대중매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품의 소비에 맞추게 하였다. 따라서 대중매체의 메시지내용과 대중매체의 영향이 사람들의 생활과 지각을 결정하게 되었다.
광고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무너뜨리면서 사회구성원 모두를 소비의 대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광고가 없이는 자본주의가 존속할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자본주의 사회는 광고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판매자 정보

minoya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