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제작용 HD 캠코더의 종류와 특징
저작시기 2008.01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900원
등록일 2010.01.02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영화에 관련된 교양시간에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영화제작용 HD캠코더 종류와 특징을 담았습니다. 당시에 A+를 받은 과목입니다.목차
Ⅰ 서론1. 고선명 비디오(HD)
2. HDV
Ⅱ HD 캠코더의 종류와 특징
1) SONY HDW-F900
2) SONY HDR-FX1
3) SONY HDR-UX1
4) 산요 Xacti-HDC1
5) 캐논 디지털캠코더 DM-XL2
본문내용
★ 먼저 처음 이 레포트를 부여받았을때는 막막한 마음을 감출 길이 없었다. 영화를 좋아하는 탓에 신청한 과목이었지만, 극도의 기술치인 내게는 상당한 부담이였고, 나와는 동떨어져있는 과제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사실 나는 그 흔한 디카조차도 가지고 있지 않은, 보기보다 보수적이고 기계를 무서워하는 사람이다. 때문에 캠코더는 예술적인 무언가를 하기 위한 꿈이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라 여긴 까닭에, 처음엔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막막한 심정이었다.먼저 HD캠코더에 대해서 찾아보니 HD, HDV 등의 용어등이 등장하였다. 단순히 ‘조금 더 선명한 화질의 캠코더’라고 여겼던 나의 생각과는달리, 아주 복잡한 설명들이 전개되었다. 하지만 이를 이해하는 것이 무턱대고 HD캠코더의 종류를 찾아 헤매는 것보다 낫다는 판단하에, 이들을 정독하기 시작했다. 다음은 그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1. 고선명 비디오(HD)
고선명 비디오(High-definition video, 보통 줄여서 HD)는 표준 해상도(SD)의 영상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영상 시스템을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흔히 1280x720 (720p), 1920x1080 (1080i, 1080p) 등의 화면 해상도를 가리킨다.
최초의 HD 사양 정의는 198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에서 초당 30 프레임(fps)의 1125-라인 TV 표준을 개발했다. 일본의 엔지니어들은 이 표준을 1981년 알제에서 열린 국제 텔레비전 엔지니어 회의에서 선보였으며, 일본의 NHK는 1983년 스위스의 한 콘퍼런스에서 아날로그 HDTV 시스템을 선보였다. 그 NHK 시스템은 1990년대 초반 미국의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표준 #240M으로 표준화되었다.
미주 지방에서는, 1987년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미국 방송국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고기능 텔레비전(advanced television)을 제정하기 시작했는데, 현재의 고선명 비디오
참고 자료
없음판매자 정보

cutehjlove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