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론
저작시기 2007.01
한글 (hwp) 6페이지 가격 1,200원
등록일 2009.09.25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동양의 인성론에 대한 고찰목차
Ⅰ.인성론1. 맹자의 성선설
2. 순자의 성악설
3.고자의 성무선악설
Ⅱ.사례
Ⅲ. 인성론에 대한 나의 견해와 사례 적용
1.맹자의 성선설
2.순자의 성악설
3.고자의 성무선악설
본문내용
중국철학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우리가 제일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부분이 아마 인간의 인성론에 관한 내용일 것 이다. 어려서부터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고자의 성무선악설등은 우리가 익히 들어왔던 내용이고 상당히 친숙한 중국 철학의 이론이다. 하지만 내가 생각해 보았을 때 지구상의 수많은 사람의 인성을 한 이론 안에 국한 시킬 수 있을지 또 실 사례에 적용 시킬 수 있을지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이 전에 내가 겪어보았던 실 사례에 미흡하나마 내게 있는 인성론에 대한 지식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물론 인성론의 겉 생김새만 알고 있는 내가 쓰는 이 글이 맹자와 고자의 인성에 대한 논쟁처럼 각 인성론에 대해 심도 있게 적극적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인성론은 누구의 주장이 맞다 틀리다의 문제가 아닌 관점의 차이 일뿐이라고 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각 학자의 인성론에 대해 알아보고 위에서도 말한 것과 같이 각 인성론에 내가 겪은 실제 사례를 적용해 봄으로써 실 사례에 어느 정도 각 인성론이 부합한지 살펴보도록 하겠다.Ⅰ.인성론
1. 맹자의 성선설
성선설로 알려진 맹자는 “인성도 선하기를 물이 아래로 흐름과 같으니 사람이 선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 물이 아래로 흘러가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하면서 性 본연에 대한 선함을 주장했다. 같은 종류의 사물은 공통적으로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듯이 인간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性” 역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맹자는 “그러므로 종류가 같은 것은 다 비슷하니 어찌 사람만을 의심하겠는가? 성인도 나와 같은 종류의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맹자는 인간의 속성을 “同類(동류)”의 관점으로 보아 공통적인 특성을 찾았다. 그 공통적인 특성은 개인의 상황과 태도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지만 이를 통괄하는 속성은 선함에 있었던 것이다.
판매자 정보

505army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