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국내 EC현황과 정부정책, 관련법규
등록일 2002.03.14
한글 (hwp) 15페이지 가격 8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Ⅰ. 처음Ⅱ. 본문
1. 우리 EC현황
가. B2C현황
나. B2B현황
다. B2G현황
2. EC추진현황
가. 정부정책과 추진현황
나. 민간부문 추진현황
다. 추진 상의 문제점
3. 관련법규
가. 기본법규
나. 관련법규
Ⅲ. 맺음말
본문내용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라는 용어는 1989년 미국의 국립 로렌스 리버모오 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에서 미 국방성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전자상거래가 일반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한 시점은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당시 전자상거래에 대한 논의는 VAN(Value Added Network)을 이용하여 기업간(또는 정부와 기업간) 전자적인 자료 교환을 위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90년도 초기에 개발된 Web과 브라우져로 인하여 인터넷이 점차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의 판매와 마케팅을 위한 매체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응용 형태로 발전하였다. 또한 인터넷과 PC의 확산에 따라 소비자가 전자상거래의 경제 주체로 참여하게 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가 범세계적으로 논의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는 참여하는 경제 주체에 따라 기업간 전자상거래(정부와 기업간 거래를 포함)와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전자상거래를 인터넷을 이용한 기업과 소비자간 상거래로 한정시키거나, 아주 협의로는 전자적인 지불수단을 수반하지 않으면 전자상거래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범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기업간 전자상거래이고 그 비중은 전체 전자상거래 규모의 약 80%에 이르고 있다. 1997년 GE, CSX, NEC 등 3개회사의 매출 중 200억불 이상이 전자상거래로 인한 것이며, 이러한 금액은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참고사이트>통계청 홈페이지 : http://nso.go.kr/
http://home.ewha.ac.kr/~jhkim/
http://www.elogiplus.com/
http://ccamiory.hihome.com/
<참고자료>
안중호, 박철우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홍문사
심종석, 정경진 전자상거래와 e-비즈니스, 청림출판
판매자 정보

rokmc186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