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 사군자
등록일 2001.12.03
한글 (hwp) 13페이지 가격 5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장 - 서론 - 사군자의 의미2장 - 본론
1. 매화 1)매화의 기원. 2)매화화법
2. 난초 1)난화의 의의. 2)난화의 기원. 3)난화법론
3. 국화 1)국화의 의의. 2)국화의 기원. 3)국화법론
4. 대나무 1)죽화의 의의. 2)죽화의 기원. 3)죽화법론
3장 - 결론 - 사군자의 의의
본문내용
사군자는 동양회화에서 매(梅), 란(蘭), 국(菊), 죽(竹)을 뜻하며 <군자>란 명칭은 본래 재질과 덕이 있는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미덕, 덕풍, 지덕 등을 총칭해서 부르는 말로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BC 770 - BC 221)에 많이 유행하였던 말로서 본래 회화에서 사용하지 않고 인물을 가리킨 말이었다.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맹상군(孟嘗君), 평원군(平原君), 춘신군(春申君), 신릉군(信陵君) 등 뜻이 높은 인물 네 사람을 골라서 그들의 덕망을 높이 받들기 위하여 부른 이름으로서 회화에 이 말이 쓰이게 된 것은 매, 란, 국, 죽이 고결하고 지조 높은 기개가 있다고 하여 앞서 말한 인물들의 이름을 모방한 데서 연유하였으며 식물에 있어서 매, 란, 국, 죽, 송을 합하여 오우(五友)라고 하는데 송(松)은 산수화에 많이 이용되고 또 그리는 수법이 약간 특출하여 송을 제외한 네 가지 고결한 식물을 일컬어 사군자라고 하였다.판매자 정보

shuuck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