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학벌주의
등록일 2001.11.25
한글 (hwp) 8페이지 가격 1,2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학벌주의에 대해서 생각해 봤습니다.일반적인 우리의 의식에 대해서 그리고 그 해결방안도 간단히 적어봤어요
많은 참고 되면 좋겠네요
목차
없음본문내용
우리 사회에서는 누군가를 처음 만나 대화를 나누게 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오가는 것을 볼 수 있다."어느 성씨입니까?"
"고향이 어디입니까?"
"출신학교는 어느 학교입니까?"
직접 본인을 만나지도 않고 소개나 추천을 받았을 때도 이와 같은 내용으로 묻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다면, 외국의 경우 실례가 될 수 있는 이와 같은 질문을 초면임에도 불구하고 왜 하려는 것일까? 그 이유는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질문을 자기와 같은 혈통이나 씨족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씨족이나 문벌주의가 아직 존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자기와 같은 또는 비슷한 출신지역인가를 확인하려는 것으로서, 같은 출신지역을 우대해 주는 지벌주의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세 번째 질문은 자기와 같은 학교의 동창인가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학력·학벌에 의하여 상대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한다. 말하자면 학력·학벌주의가 아직도 우리 사회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와 같은 족벌·지벌·학벌이야말로 우리들의 인간관계를 지배하는 삼벌로서, 시간이 흘러도 쉽게 약화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참고 자료
한국 학력사회론 → 김부태 (1995), 내일을 여는 책점수병학교·학력병사회, 이대로 좋은가 → 김용숙 (1990), 성원사
교육비평 → 박인종 (1991), 도서출판 우리교육
판매자 정보

orange0318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