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학] 국어의 연구
등록일 2001.11.03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3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들어가며2. 들어가서
2-1. 말은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2-2. 말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3. 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모든 언어가 그렇듯이 우리의 언어체계도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달라진다. 옛날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말, 그리고 지금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말이 모두 같은 범위에 속하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는 '훈민정음'이나 '계림유사', '조선관역어' 와 같이 기록문서를 살펴볼 수도 있고, 시간대를 동일하게 설정한 후 여러 지역의 방언을 비교해 가면서 알아볼 수도 있다.
2. 들어가서
▣ 말은 공간에 따라서 달라진다.
세계에는 수천 가지나 되는 언어가 쓰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에 따라서 여러 방언이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방언들은 소리의 체계나 낱말, 말본의 체계가 서로 다르다.
각 특질에 따라 각 지역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방언의 형태를 살펴보도록 하자.
《소리의 체계》 서울말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 의 10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와서 젊은이들 사이에 「ㅔ」와 「ㅐ」를 합쳐서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ㅟ」를 [y]로 내지 않고 [wi]로 내는 사람도 있고, 「ㅚ」 마저도 [Ø]가 아닌 [we]로 내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9개, 8개의 단모음이 쓰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열 개의 단모음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10개의 단모음이 쓰이는 서울말과 달리 경상도나 일부 어떤 지방에서는 여섯 개의 단모음을 사용하는가 하면 독특한 홀소리 체계를 이루고 있는 곳도 있다.
판매자 정보

wnslfl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