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개론] 베이컨 데카르트 (경험론 & 합리론)
등록일 2001.11.01
한글 (hwp) 4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 귀납▲ 연역
▲ 경험론 [經驗論, empiricism]
▲ 대륙합리론 [大陸合理論, continental rationalism]
"아는 것이 힘이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
▲ 학문의 새로운 방법 귀납법
"Cogito, ergo sum" -데카르트(Ren Descartes, 1596∼1650)
※ 합리론과 경험론의 공통된 특징
본문내용
아는 것이 힘이다.실제 생활에서 참된 지식을 얻지 못하는 이유는,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베이컨은 참된 지식을 방해하는 이런 편견이나 선입견을 우상(偶像, Idola)이라고 불렀으며, 사물을 바로 보기 위해서는 이 우상을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우상의 대표적인 것으로 다음의 네 가지가 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방법적 회의 : 데카르트는 진리의 근거를 찾아내기 위해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믿는 모든 것에 대해 일단 의심해 보기로 했다. 내가 지각하는 모든 것이 착각일 수 있고, 내가 생각하는 모든 것이 허위일 수 있다고 의심했다. 내가 눈으로 보는 것이나 손으로 느끼는 모든 것도 의심했고, 나의 눈이나 손마저 착각일지 모른다고 일단 의심했다. 그가 가장 신뢰했던 수학에서의 진리마저 믿기를 보류했다. 2와 3을 더하면 5가 된다는 것도 어떤 전능한 악령이 우리 인간들을 속여서 그렇게 믿도록 하고 있는지 모른다고 의심 해 보았다. 이렇게 회의하는 태도를 '방법적 회의'라고 하는데, 이는 매사를 습관적으로 불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습성이나,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하는 '회의론' 등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 안재훈. 1998. 지혜를 얻는 철학여행. 새날. 서울. pp110∼119, 139∼148- 대구대학교 철학과 사상 교재편찬위 . 1996. 철학과 사상. 대구대학교 출판부. 경북. pp94∼100
-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 http://user.chollian.net/~sonjae/AAA/4-5.htm
판매자 정보

musph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